삼성전자 노동자들 임금 인상 요구, 노조 인정 요구: 조합원들은 재파업으로 사용자를 압박하고 싶어 한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임금 인상, 성과급 개선, 휴가 확대 약속 이행, 노동 존중 등을 요구하며 오늘(7월 8일)부터 사흘간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 첫날 오전 11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앞에서는 파업 집회가 열렸다. 호우주의보가 발령될 정도로 많은 비가 쏟아지는데도 조합원 5000명가량이 집결했다. 2030 청년 조합원들이 대열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노동자들의 기세는 드높았고 집회 내내 쩌렁쩌렁한 투쟁 구호가 화성사업장 앞 도로를 뒤덮었다. 사용자 측의 방해와 회유를 뚫고 한자리에 모인 노동자들은 서로를 격려하며 감격했다. 오랫동안 노조를 불온하게 여겨 온 삼성에서, 노동자들이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 가고 있다는 자긍심이 흠뻑 느껴졌다. 파업 돌입 전부터 파업 참가자 수가 얼마 안 될…

Loading

Read More

이주노동자 다수 사망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 이윤에 눈멀어 노동자 안전 내팽개친 정부와 기업주 책임

6월 24일 경기도 화성의 리튬 배터리 제조 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로 23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났다. 그중 18명이 외국 국적의 이주노동자였고, 귀화한 한 명을 포함해 다섯 명은 한국 국적의 노동자들이었다. 단일 사건으로 가장 많은 이주민이 사망한 것이다. 억울하게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에게도 깊은 위로를 전한다. 이번 참사는 아리셀 공장 3동 2층의 배터리 제조 작업장에 쌓여 있던 배터리들이 폭발하면서 발생했다. 급격한 연쇄 폭발과 유독가스 분출이 이어졌고, 불과 40여 초 만에 손 쓸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아직 배터리 폭발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발화 당시의 모습이 담긴 CCTV 영상을 보면 너무…

Loading

Read More

우리의 기본 입장 해설 ⑧: 혁명 이후의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우리의 기본 입장 해설 목차 보기 ↓ 혁명적 변화를 일으킬 사람들이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할지 우리가 감 놔라 배 놔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혁명으로 탄생한 사회가 어떤 사회일지에 관해 할 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블라디미르 레닌은 혁명의 경험을 살펴보고 노동자들이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이끌어 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노동자 국가”, “노동계급의 지배”를 말한 바 있다. 둘은 주로 이런 표현을 썼지만 이와 비슷한 다른 표현을 쓰기도 했다. 오해를 많이 사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도 그런 표현의 하나다. 중요한 점은, 이 표현의 속뜻이 민주주의 반대가 아니라는…

Loading

Read More

South Korea’s Election Outcome: Opposition Party Triumphs, PresidentYoon Faces Diplomatic and Domestic Challenges!

Opposition party wins in South Korea’s election, posing challenges for President Yoon’s governance and foreign relations, notably with China. Despite this, Yoon’s alignment with the U.S. and Japan is likely to continue, amid domestic concerns like inflation and medical strikes. By Pranjal Pandey The liberal opposition party of South Korea has secured a sweeping majority in the nation’s general election, maintaining control of parliament. The Democratic Party (DP), led by Lee Jae-myung, attained 175 out of 300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This election is widely interpreted as a midterm…

Loading

Read More

제30차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행진: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매주 새롭게 참가하다

13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둘러싼 전황이 한층 위기로 치닫는 가운데 ‘팔레스타인인들과 연대하는 사람들’(이하 팔연사)이 서른 번째 집회를 열었고, 약 300여 명이 참가했다. 최근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는 라파흐 지상전 날짜를 확정했다고 발표했다.(그러나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집회 참가자들은 문제의 주범이 이스라엘임을 분명히 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미국이 이란의 침공 위험 운운하며 이스라엘을 위해 군함을 파견하는 등 여전히 팔레스타인인들을 상대로 한 인종 학살을 지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참가자들은 이스라엘과 이를 비호하는 미국에 대한 분노를 담아 “라파흐에 지상군 투입 말라” 등의 구호를 함께 외쳤다. 첫 발언은 한국에서 팔레스타인 연대 활동에…

Loading

Read More

근로시간 개편: 윤석열 정부가 또다시 노동시간 유연화를 획책하다

김광일 윤석열 정부가 11월 13일에 노동시간 개악 계획을 수정 발표했다. 지난 3월 고용노동부가 기세 등등하게 발표한 이른바 “주 69시간제”는 광범한 반발에 부딪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윤석열은 유체이탈 화법을 쓰며 보완을 요구했다. 그러나 윤석열은 “큰 틀의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다. 결국 고용노동부는 설문조사를 실시한다며 시간 벌기에 나섰고, 이번에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노동시간 개악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정책 방향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조업과 건설업 등 일부 업종의 생산, 정비 등의 직종에서 먼저 노동시간 유연화를 시행하되, 지난 개악안과 달리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통해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지난 개악안에 대한 반발을 의식한…

Loading

Read More

가 제공하는 것과 같은 다원주의의 여지가 없다. 특히 팔레스타인인들에 대한 여지가 없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절대 시온주의 국가와 장소의 일부가 될 수 없으며, 계속 싸울 것이다.”

By Kim Ji-Tea 일란 파페의 <팔레스타인 비극사>를 읽었다. 이 책은 1948년 시온주의자들이 팔레스타인인 80만 명을 추방한 ‘나크바'(대재앙)를 다룬다. 그동안 나크바에 대해서 책으로 읽고 많은 이야기를 들어봤지만, 이 책에서 묘사하는 그 자세한 모습은 너무 충격적이었다. 흔히 알려져 있는 나크바의 대표적인 비극 ‘데이르 야신’ 학살은 그야말로 빙산의 일각이었다. 시온주의 민병대는 곳곳에서 마을 주민들을 학살하고 강간하고 약탈했다. 이런 대대적인 추방과 학살은 다비드 벤구리온이 주도한 시온주의 지도부가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지도했다. 하지만 그 순간에도 팔레스타인인들은 저항했다. 추방됐던 사람들은 끈질기게 자기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래서 시온주의자들은 그들이 돌아오지 못하게 마을들을 철저히 파괴하고 재산을 강탈했다. 지금 그 마을들의…

Loading

Read More

이스라엘군이 패퇴할 수도 있는 걸까?

가자 지구의 참상이 연일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이스라엘군의 폭격, 치솟는 불길과 연기, 폐허가 된 가자 북부, 수많은 시신과 부상자들, 백기를 들고 피난을 떠나는 팔레스타인인들의 모습이 나온다. 언론은 또한 하마스가 가자 북부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는 이스라엘 측의 발표를 보도한다.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런 보도를 보고 이스라엘에 분노하면서도 절망과 무력감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에 대한 연대를 건설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런 보도에 쉽게 흔들려서는 안 된다. 가자에서는 여전히 격렬한 교전이 이어지고 있다. 교전은 한쪽만 하는 것이 아니다. 10월 7일 기습 이후 이스라엘이 처절한 응징에 나설 것임은 불 보듯 뻔한 일이었다. 당연히 하마스와…

Loading

Read More

인티파다의 세계화 – 국제 컨퍼런스

2023년 11월 26일, 제3차 팔레스타인 인티파다를 지지하고, 나치 이스라엘 국가에 대항하여 민족해방전쟁을 주도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민족의 투쟁을 지지할 목적으로 온라인 국제회의 “인티파다 세계화”가 소집되었으며, 그의 점령군. 전 세계 아시아코뮌과 마르크스 인터내셔널 활동가들은 멕시코, 캐나다, 미국을 거쳐 콜롬비아, 에콰도르, 파나마, 스리랑카, 홍콩, 중국, 유럽, 미국을 거쳐 이 공동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티파다를 세계화하고 이스라엘과 제국주의 군대에 맞서고 있는 대규모 동원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수천 명의 활동가들이 자본주의 정부에 맞서 팔레스타인을 위한 투쟁과 동원에 나섰습니다. 진보 인터내셔널이 지도하는 부르주아 개혁주의 좌파는 유엔의 정책을 따르며 ‘평화’와 휴전을 외치는 거짓된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Loading

Read More

”우리 모두가 팔레스타인인이다‘

[11.4 이스라엘 규탄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행진]  오후 3시 주한 이스라엘대사관 앞에서 인종과 국적를 가로질러 모인 많은 이들이 집회를 시작했습니다. 첫 발언은 ”우리 모두가 팔레스타인인이다‘ 라는 구호로 마무리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국적과 인종, 종교를 뛰어넘어 한목소리로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에 연대합니다.

Loading

Read More